안녕하세요, 실뱌로그입니다.
오늘은 일상 속의 소소한 재테크, 교통비 절약 첫걸음이라 생각하는 '알뜰 교통카드'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.
소소한 교통비 절약의 시작! 알뜰 교통카드
☆ 알뜰 교통카드란?
-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관리하는 앱이자 서비스
- 정기적인 대중교통 이용 시 최초 출발한 지점부터 최종 도착한 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서비스
- 마일리지는 중앙 정부와 지자체 예산으로 지급하기 때문에 본 사업에 참여하는 주민만 혜택을 받을 수 있음 (예산 부족시 지급액 변경 혹은 일시 중단될 수 있음)
☆ 알뜰 교통카드 이용 가능한 카드사
- 신용/체크카드: 신한카드, 우리카드, 하나카드
- 티머니 제로 페이 (2021.07 기준 서울시 정책 변경으로 신규 가입 불가)
☆ 알뜰 교통카드 이용 전 준비 사항
- 알뜰 교통카드 참여 지자체인지 확인 필수
- 알뜰교통카드 앱 설치
- 알뜰교통카드 회원 가입/로그인
+ 주민등록 등본/초본
- 알뜰교통카드 이용 가능 카드 발급 및 수령
☆ 사용자 기준 혜택
쉽고 빠른 이해를 위해 아래 기준으로 예를 들어 설명드리며, 제가 실제로 한 달 동안 이용한 내역입니다.
[ 기준 ]
- 편도 발생 금액 = 1,350원
- 편도 이용 횟수 = 50번
- 알뜰 교통카드 카드사 = 우리카드 (체크)
* 알뜰 교통카드 사용안하는 경우
- 월 대중 교통비 = 편도 발생 금액 * 편도 이용 횟수
= 1,350 * 50 = 67,500 원
* 알뜰교통카드 사용하는 경우
- 월 대중 교통비 = 67,500 원 (사용 안 하는 경우와 동일)
- 마일리지 적립금 = 250 * 50 = 12,500 원
- 카드 실적 혜택 = 3,000 원
- 최종 월 대중 교통비 = 67,500 - 12,500 - 3,000
= 52,000 원
- 교통비 절약 금액 = 15,500 원
오늘은 "알뜰 교통카드"를 주제로 다뤄보았습니다.
궁금하신 사항이 있거나, 요청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!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02.gif)
'정 보 팁 로 그 > 재 테 크 로 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교통비할인] 알뜰교통카드 - 앱 설정 및 앱 구성 소개 (2) | 2021.07.29 |
---|---|
[교통비할인] 알뜰교통카드 - 사용 환경(설치, 실행) 구성 방법 (3) | 2021.07.28 |
[제로페이] 비플제로페이 - 계좌 연동 결제 방법 (0) | 2021.07.21 |
[제로페이] 비플제로페이 - 상품권 사용/결제 방법 (0) | 2021.07.20 |
[제로페이] 비플제로페이 - 상품권 환불 방법 (0) | 2021.07.19 |
댓글